본문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개발/Design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가 제안하는 디자인 방법론 - 5. 가이드 작성법 2

반응형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가 제안하는 디자인 방법론 - 5. 가이드 작성법 2

 

 

 

저번 시간까지 가이드 작성법을 알아 보았다. 이번 시간은 마지막 시간으로 상용화된 앱을 바탕으로 좀 더 디테일한 가이드 작성법을 소개 해보겠다.

일반적으로 리스트 형식이라면 이전 시간까지의 설명으로 충분히 커버될 수 있지만, 아래처럼 한 화면에 모든 정보가 담겨야 되는 스크롤 되지 않는 뷰의 경우 좀 곤란한 상황들이 발생 할 수 있다.

 

아래는 인스타웨더라는 앱으로 첫 화면을 가이드를 작성 해보았다.

 

사실상 가운데 이미지를 두개로 나누지 않고 통이미지로 잡은뒤, weight 1 을 하나만 잡은상태에서 gravity를 center 정렬로 하면 쉽게 해결 되는 부분나, 기준점은 weight 1을 하나가 아닌 여러기준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이렇게 작성 하였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전시간에 이야기한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상대적인 표현을 하라는 것이다.

weight 1이라고 적힌 부분은 가변될수 있는 부분이라는 뜻이다. 해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저위치한 부분들이 변하게 된다.

이 처럼 UI 디자인 가이드를 작성 하면 좋을 것이다.

 

 

아래는 1024x768 해상도를 가진 거의 최악의 화면이다. 하지만 우리는 프로니까 이런 해상도도 모두 지원하는 앱을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디자인 가이드처럼 weight 1 부분이 줄어 들어 해상도에 맞게 잘 나오는것을 확인 해 볼 수있다.

 

 

아쉽지만 여기까지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가 제안하는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궁금 하신점은 언제나 댓글이나 SNS가 열려있으니 질문 주시면 됩니다.

 

 

 


반응형